일본 금리인상, 엔화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일본은 2023년 3월 10일, 오랫동안 유지해 왔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마무리하고 기준금리를 0%에서 0.1%로 인상했습니다. 이는 약 8년 만에 처음 있는 금리 인상으로, 세계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엔화 약세 해소 기대
일본의 금리 인상은 엔화 약세 해소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기록적인 엔저 현상이 지속되면서 저렴하게 매수한 엔화의 가치가 오르면 환차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국내 거주자의 엔화 예금 잔액은 2023년 9월 83억 8천만 달러에서 2024년 2월 현재 98억 6천만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860원대였던 엔화가 저점을 찍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엔테크(엔화 투기) 열풍이 지속되고 있는 것입니다.
엔화 투자 상품 주가 반응은?
하지만 실제로 일본 금리 인상이 엔화 투자 상품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크지 않습니다. 가장 많이 활용되는 일본엔 선물 ETF의 주가는 오히려 하락한 상황입니다.
이는 이미 금리 인상 가능성이 주가에 선반영되었기 때문입니다. 당장은 크게 상승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엔화 상승 타이밍은 언제일까?
미국 금리 인하 시그널이 키포인트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금리 인하 시그널이 있을 때 엔화도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봅니다. 현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 인하에 대한 의견을 조금씩 내비치고 있는 상황에서, 결정되기 전까지는 엔화 투자에 큰 영향을 줄 만한 사건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이번 일본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엔화 투자 수익이 단시간에 크게 증가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자산 배분의 중요성
하지만 최근 금 시세 상승 등으로 인해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일본 금리 인상의 경제적 영향도 중요하지만, 이를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적절한 시기에 자산을 재배분한다면 항상 수익이 나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엔화 투자 기회 포착하기
환차익 기회 노리기
엔화 약세 장세가 지속되면서 환차익을 노릴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엔화를 저렴하게 매수한 후, 엔화 가치가 상승하면 차익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외화 예금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외화 예금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은행에서 엔화 예금 계좌를 개설한 후, 적절한 시기에 엔화를 매수하여 예치하면 됩니다. 환율 변동에 따른 차익을 노릴 수 있습니다.
엔화 ETF 투자
엔화 선물 ETF에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ETF로는 '삼성 KODEX 엔화선물특별자산'과 'KBSTAR 엔화선물인버스 2배' 등이 있습니다. 이 ETF들은 엔화 선물 가격 변동에 연동되므로 엔화 가치 변화에 따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일본 기업 주식 투자
일본 금리 인상은 일본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일본 기업의 실적 개선이 기대되므로, 일본 기업 주식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대표적인 일본 ETF로는 'KBSTAR 일본Nikkei225인버스2배'와 'KODEX 200 선물인버스' 등이 있습니다. 개별 기업 주식 투자도 가능하지만, 리스크 분산을 위해 ETF 투자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글로벌 분산 투자
엔화 투자뿐만 아니라, 글로벌 분산 투자도 중요합니다. 특정 국가나 자산에 치중하지 않고, 다양한 자산과 국가에 투자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 주식과 채권, 유럽 주식, 중국 주식 등에 분산 투자하고, 일부 비중을 엔화나 금 등 안전 자산에 할당하는 식입니다. 이렇게 하면 특정 자산이나 국가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마치며
일본 금리 인상은 엔화 가치 상승과 일본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실제 투자 수익으로 연결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미국 금리 인하 시그널 등 주요 이벤트를 주시하며, 적절한 타이밍에 엔화 투자와 글로벌 분산 투자를 병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재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차익과 기업 실적 개선 등 다양한 기회를 포착하여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리스크 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